암호화폐/용어 한누누 2022. 3. 21. 01:53
거버넌스(Governance)란 단어 들어보셨나요? 햄버거집 이름인가..? 시사나 블록체인 기술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이미 익숙하실 텐데요 오늘은 거버넌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거버넌스라는 개념은 1980년대에 사회과학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했다고 합니다. 과거의 일방적이고 수직적인 의사결정 방식에서 벗어나,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직접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말이죠. 아주 간단한 예를 들자면, 학교 선생님이 지각하는 학생들에게 5,000원의 벌금을 부과하는 규칙을 만들고, 이 벌금을 모아 A라는 유기동물보호소에 전액 기부를 하기로 했다고 합시다. 여기까지가 과거의 일방적이고 수직적인 의사결정 방식입니다. 여기에 거버넌스를 도입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지각비가 너무 비싸요!..
암호화폐/용어 한누누 2022. 3. 17. 15:53
P2E(Play-to-Earn) 게임이란, 단어 그대로 게임을 하면서(Play) 돈을 벌 수 있다(Earn)는 개념의 게임 형태입니다. 물론 P2E 개념이 나오기 전에도 게임을 통해 얻은 재화로 수익을 얻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예 : 디아블로3의 경매장 시스템) 하지만 기존의 게임들이 가져다주는 수익은 불안정했고, 아이템 복제, 게임 핵(hack) 등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습니다. P2E 게임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상기한 한계점을 극복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P2E 게임을 통해 벌어들인 재화와 아이템은 블록체인상에 투명하게 기록됩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변경, 복제, 삭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저들은 게임에서 벌어들인 재화에 대한 소유권과 희귀성을 보장받게 됩니다. 또..
암호화폐/용어 한누누 2022. 3. 17. 04:31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대체 불가능 토큰' 이라고 합니다. NFT가 정확히 무엇인지, 어디에 쓰일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2월, 유명 싱어송라이터 저스틴 비버가 한화 16억원 상당의 NFT를 구입해 화제를 모았습니다. NFT의 개념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고유한 자산임을 증명하는 가상의 토큰입니다. 이러한 자산은 사진∙영상∙음악 같은 디지털 파일일 수도 있고, 그림∙조각 같은 실물 작품을 토큰화 한 경우도 포함됩니다. NFT는 대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유성을 띠고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대체가능 vs 대체불가능 대체가능 : 내가 가진 오만원권 지폐는, 다른 누군가의 오만원권 지폐와 동..
암호화폐/용어 한누누 2022. 3. 16. 02:03
DYOR (Do Your Own Research) 암호화폐 시장을 기웃거리다 보면 흔히 마주치게 되는 단어인데요 투자 항목에 대해 '투자자 본인이 직접 공부하고 분석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스스로 공부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나보다 더 경험이 많은 다른 투자자들의 견해를 믿고 따르는 것이 더 안전하지 않을까요? 크립토 시장에서는 사람들이 자신이 소유한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실 바라며, 다양한 방식으로 홍보를 합니다. 이러한 행위를 Shilling이라고 하는데 소액 투자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정보가 객관적인 것인지, Shilling 인지(선의든 악의든)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개미는 흔히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의 덫에 빠지게 됩니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